728x90

Azure VS AWS 3

Azure와 AWS의 차이: 리소스 중심 vs 네트워크 중심 가용성 관리

Azure와 AWS를 포함한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Region)을 여러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으로 나눕니다. 모든 지역에서 가용 영역을 지원하지는 않지만, Azure와 AWS 모두 서울 지역에 대해 가용 영역을 제공합니다.Azure에서는 가용 영역을 Zone 1, 2, 3으로 표현하는 반면, AWS에서는 AZ(Availability Zone) a, b, c, d로 표기합니다. 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간의 가용 영역 할당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Azure는 리소스 중심의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배포하는 리소스를 기준으로 가용 영역을 할당합니다. 이는 서비스 수준에서의 고가용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AWS는 ..

Azure VS AWS 2024.12.24

Azure와 AWS의 차이: 아웃 바운드 인터넷 통신

인프라 설계 및 구성 시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는 외부 인터넷과의 통신을 위한 IP 제어, 특히 아웃바운드 정책의 설계입니다. 이는 플랫폼에서 외부로의 통신을 관리하는 정책을 포함하며,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한 설계가 필요합니다.이러한 맥락에서, 클라우드 환경의 기본 IaaS 리소스인 Azure의 가상 머신(VM)과 AWS의 EC2 인스턴스의 아웃바운드 정책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아웃바운드 통신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네트워크 설계와 보안 정책 수립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Azure VM 아웃 바운드현재 Azure VM은 공인 IP가 할당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외부 인터넷과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는 Micr..

Azure VS AWS 2024.11.10

Azure와 AWS 차이: 이름 정책 비교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리소스 명명 규칙을 수립하는 것은 특히 기업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인 사용자에게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기업에서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수적입니다.명명 규칙의 주요 목적은 여러 관리자가 동시에 작업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팀원이나 후임자가 리소스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며, 리소스의 유형, 목적, 위치 등을 이름만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일반적으로 명명 규칙은 리소스 타입, 사용 목적, 지역, 일련번호 등을 조합하여 만듭니다. 이는 AWS, Azure 등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od-web-server-kc-001'과 같은 이름은 프로덕션 환경의 웹 서버가 한국 중부 지역에 있으며, 해당..

Azure VS AWS 2024.11.07
728x90